월하랑은 한국정원문화를 알리는데 앞장섭니다. ‘우리 정원의 가치를 전한다.’는 사명을 실천하기 위해 정원 교육, 정원 여행 상품 개발, 정원 전시기획, 강연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한국의 정원 문화를 알리고 있습니다.
Wolharang is dedicated to elevating a deeper appreciation for Korean garden. Driven by its mission of "sharing the value of Korean gardens," it spreads awareness of this Korean garden culture through diverse initiatives, including garden education, creating garden tour packages, planning garden exhibitions, and giving lectures.
대학로에서 자취하던 시절, 주말 아침 눈을 뜨면 종종 커피를 사 들고 창경궁으로 향했습니다. 걸어서 10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살았기에 누릴 수 있던 호사였습니다. 주말 오전의 창경궁은 대체로 사람이 없어 한적했습니다. 소나무 그늘 아래 앉아 가만히 하늘을 바라보면 담장 넘어 양버즘나무가 천천히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한참을 느린 나무의 움직임을 바라보며 시간을 보내다 집으로 돌아가곤 했습니다. 어딘가에 앉아서 가만히 한 대상을 관찰하는 행동은 저의 오래된 버릇입니다. 그렇게 바라보다 보면 밖에서부터 무언가 느껴지기도, 내면 안에서 무언가 샘솟기도 합니다.
조경가는 세상에 자신의 작품을 하나씩 만들어가는 직업입니다. 땅을 가만히 들여가보며 자신의 생각과 마음을 땅 위에 풀어내는 일이죠. 무엇보다 이 공간을 향유하게 될 누군가를 위한 일이라는 사실이 저를 강하게 이끌었습니다. 작은 마당부터 도시 공원까지, 조경은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공간에 자리합니다. 땅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예술이기도 하지요. 조경 공부를 시작하며 자연스레 우리나라만의 고유성을 탐구하게 되었습니다.
조경의 오래된 흔적을 찾기 위해 서울부터 전라도, 경상도, 전국 곳곳의 정원들을 방문했습니다. 담장도 어떠한 경계도 없이 덩그러니 놓여진 정자에 앉아 있을 때면, 몇백 년 전 나와 같은 자리에 앉아 있었을 누군가를 떠올렸습니다. 아득한 시간 사이에 채워진 수많은 이야기들이 더 궁금해졌습니다. 정원을 공부하는 일은 한 사람의 인생을 추적하는 일이기도, 당시의 시대상을 이해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역사, 문화, 철학이 녹아든 정원을 통해서 한 사람의 인생을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그저 평범하게만 보였던 돌과 나무, 물이 만들어낸 풍경 그 이면의 이야기들을 전하고 싶습니다.
정원은 꽃과 나무로 장식된 예쁜 공간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누군가의 의도와 안목, 인생을 대하는 태도가 담겨 있는 곳이라는 걸 느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정원엔 단순한 풍경을 넘어선 마음의 흔적이 있습니다. 정원을 만든 이의 삶에 가까이 다가가 보고, 그곳을 천천히 거닐다, 느긋하게 머물러보길 바랍니다.
『당신 곁의 한국 정원』 서문, 일부 발췌
Traces of the Mind: Walking Through Korean Gardens
When I was young, I would often start a weekend morning with a coffee and head to Changgyeonggung Palace. It was a luxury I could enjoy because I lived only a 10-minute walk away. On a weekend morning, the palace was a quiet, empty canvas. Sitting in the shade of a pine tree, I watched the sycamores gracefully sway over the palace walls. I spent a long time gazing at the slow movements of the trees before returning home. Quietly observing nature is a long-standing habit of mine. When I do so, I feel something stir from the outside, and something springs from within.
The landscape architect is an artist who creates their world one piece at a time. It is the work of looking deep into the land and translating one's thoughts and heart onto the land. Above all, I was deeply drawn to the prospect of creating a space that would be a gift for others to enjoy. From a small courtyard to a vast city park, landscape architecture is present in every space we live in. It is an art form deeply connected to the land. As I began to study landscape architecture, I naturally started to explore the unique spirit of Korean soil.
I traveled across the country, from Seoul to the Jeolla and Gyeongsang provinces, to find the ancient traces of landscape architecture. Whenever I sat in a solitary pavilion without any walls or boundaries, I would imagine someone who had sat in the same spot hundreds of years before me. I became more curious about the countless stories woven throughout the time. Studying a garden is to trace a person’s life and to understand the era they lived in. In a garden where history, culture, and philosophy have taken root, I can feel a profound connection to a single life. I want to reveal the stories behind the ordinary sceneries of stone, trees, and water.
A garden is so much more than a decorated area with flowers and trees. It is a place infused with someone’s intention, insight, and fundamental attitude toward life. Beyond a simple landscape, a garden holds the traces of the mind. I invite you to get closer to the life of the person who created the garden, walk slowly in it, and linger for a while.
Excerpt from the Prologue of
The Korean Garden by Your Side
The Korean Garden by Your Side
국가유산수리기술자이자 한국정원문화연구소 ‘월하랑’ 대표. 기업, 도서관, 대학, 작은 섬의 마을회관까지 한국 정원의 가치를 알릴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찾아가 강의하는 정원 문화 기획자이다. 국립수목원,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전통문화교육원, 서울시 등 여러 기관과 협업하여 답사 프로그램 및 정원 전시를 기획하고 운영했다.
국가유산수리기술자 조경 분야 자격 취득 강사로 활동하며,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 환경대학원에 진학해 한국 정원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Jiseon Shin
A National Heritage Maintenance Engineer of Korea and the Director of ‘Wolharang’, a leading institute in Korean garden culture. As a garden culture planner, she is an eloquent advocate for the value of Korean gardens, traveling to give lectures at diverse locations, from corporate offices and universities to libraries and even community centers on small islands. She has collaborated with various organizations, such as the National Arboretum, the Korea Arboreta and Gardens Institute, the Heritage Education Institute,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o plan and operate garden tour programs and exhibitions.
She also shares her expertise as an instructor for the landscape architecture qualification exam for National Heritage Maintenance Engineer. After graduat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she continues her research on Korean gardens at the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2025 Wolharang. All Rights Reserved.